행동의 전제가 되는 마음가짐은 진실과 신의, 사랑과 공경, 정성과 감사를
바탕으로 삼아서 절제되고 다듬어진 예(禮)로 표현되어야 한다.

1. 시사명(視思明) : 어떤 사물을 볼 때는 밝게, 바르게 보겠다는 마음을
가져야 하며, 편견 없이 진의(眞意)를 살표 봐야 한다.

2. 청사총(聽思聰) : 들을 때는 지혜를 모아 말의 진정한 의미를 똑똑히
알아듣기를 생각해야 한다.

3. 색사온(色思溫) : 얼굴 빛은 항상 온화하게 생각해서 욕심과 화(禍)를
표현하지 말고 항상 고요하고 온화한 표정을 잃지
말아야 한다.

4. 모사공(貌思恭) : 몸가짐이나 옷차림은 공손해야 한다. 남을 의식하지
않는 행동은 버릇없고, 건방지며, 교만한 마음이 있을 때
공손한 모습이 되지 않는다.

5. 언사충(言思忠) : 말을 할 때는 진실되게 하기를 생각한다.
참된 말을 요령있고 바르게 하며 헛된 말, 필요 없는
말을 삼가 해야 한다.

6. 사사경(事思敬) : 일을 할 때는 공경하기를 생각하라.
어른을 섬기는 일은 공경스러워야 하며, 일을 할 때는
최선을 다해 기획, 진행, 마무리를 해서 소홀함이 없어야
한다.

7. 의사문(疑思問) : 의심이 나면 물어서 깨달아야 한다. 묻는 것은 간접체험을
하는 것이며 의심을 푸는 일이다.

8. 분사난(忿思難) : 분한 마음을 그대로 표현하면 어려움이 생기게 됨을
생각해서 분한 마음을 다스리는 인내를 갖도록 해야한다.

9. 견득사의(見得思義) : 이득이 생기면 정당한 것인가 생각해서 화근이 생기지
않도록 한다

출처 : 禮節學 槪說

Posted by 신봉희
,